자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에 Xmx를 4G로 설정했는데 실제 메모리는 7G를 먹고 있어서 원인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Xmx는 힙의 최대 메모리를 설정하는 명령입니다. JVM은 힙외에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 부분이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 Xmx: 힙의 최대 메모리 사이즈 # MaxPermSize: Permanent Size 최대 메모리 # Xss: 스레드에 할당되는 Stack 사이즈 Max memory = [-Xmx] + [-XX:MaxPermSize] + number_of_threads * [-Xss] 힙영영외 나머지 영역에서 메모리가 필요하여 사용메모리가 늘어납니다. GC: 가비지 수집을 위한 메모리. 사용 중인 개체의 추적을 위한 그래프 생성. G1GC는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3uxgu/btqxtqT1NGu/Ioq9OAZKL6tTHlkcQWS030/img.png)
프로그래밍에서 메모리 누수현상(Memory Leak)은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를 계속 점유하고 있는 현상입니다. 자바의 메모리 누수 현상은 이전글을 참고 바랍니다. 2019/07/02 - [개념] - [개념] 메모리 누수(Memory Leak) 현상 [개념] 메모리 누수(Memory Leak) 현상 프로그래밍에서 메모리 누수현상(Memory Leak)은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은 메모리를 계속 점유하고 있는 현상입니다. 자바의 메모리 누수 자바에서 메모리 누수는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객체가 가비지 컬렉션(GC).. 118k.tistory.com 힙 덤프 생성 메모리 누수 문제가 발생하면 JVM의 힙 덤프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어떤 객체가 생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JDK와 함께 제공되는..
JVM의 메모리 구조를 알아보겠습니다. 메모리 공간 메모리 공간은 크게 힙영역과 힙영역이 아닌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힙영역은 사용자가 크기를 정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Method : 클래스, 변수, 함수, 정적 변수, 상수 정보 등이 저장되는 영역. 프로그램 전체에서 공유 Stack : 함수 내에서 사용되는 매개변수, 지역변수, 리턴값 등이 저장되는 구역. PC Register: CPU의 Register와 역할이 비슷하고, 현재 수행중인 JVM 명령의 주소값이 저장 Native Method Stack: 네이티브 메소드 호출을 위해 할당되는 구역 Heap : new 명령어로 생성된 객체가 저장되는 영역. GC의 대상이 되는 영역 힙 영역 구조 힙영역은 가비지 콜렉션(GC)의 대상이 되는 영역입니..
- Total
- Today
- Yesterday
- 정올
- HDFS
- Python
- 파이썬
- SQL
- airflow
- S3
- 백준
- ubuntu
- 오류
- java
- nodejs
- Tez
- SPARK
- mysql
- 다이나믹
- Hadoop
- 하이브
- emr
- error
- hbase
- HIVE
- 알고리즘
- Linux
- oozie
- 하둡
- bash
- yarn
- AWS
- buil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