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DFS의 주요 특징은?
- 블록단위 파일 보관
- 파일을 사용자가 지정한 단위의 블록으로 분할 하여 저장
- 분할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큰사이즈의 데이터도 저장이 가능
- 700G 디스크가 2개 있을때 1T파일을 저장하려고 한다면 1T 디스크를 사지 않고, 파일을 분할하여 저장 가능
- 분산 저장 파일 시스템
- 클러스터의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이 가능
- 레플리케이션
- 하나의 블록을 기본 복제 단위 만큼 복사하여 저장
- 범용장비 사용
- 특정 장비가 아니라 일반적인 장비에서 사용이 가능
- HDFS의 구조
- 네임노드
- 디렉토리, 파일 정보 관리
- 블록과 디렉토리간 매핑 정보 관리
- 파일 시스템의 관리를 위애 fsimage와 edits를 이용
- 데이타노드
- 파일을 블록단위로 나누어서 저장
- 체크포인트 노드, 세컨더리 네임노드
- fsimage와 edits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체크포인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파일의 수정사항을 관리
- 체크포인트 노드는 fsimage를 네임노드에 업로드 하고, 세컨더리 네임노드는 업로드 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음
- 네임노드가 죽는다고 세컨더리 네임노드가 기능을 이어가지 않음
-파일 읽기
- 네임노드에서 파일이 보관된 블록 위치 요청
- 네임노드가 블록의 위치 반환
- 각 데이터 노드에 파일 블록을 요청
- 노드의 블록이 깨져 있으면 네임노드에 이를 통지하고 다른 블록을 확인
-파일 쓰기
- 네임노드에 파일정보를 전송하고, 파일의 블록을 써야할 노드 목록 요청
- 네임노드가 파일을 저장할 목록 반환
- 데이터 노드에 파일 쓰기 요청
- 데이터 노드간에 복제가 진행
- 블록을 보관할 노드 선택
- 한 랙에 동일한 복제 블록이 존재하지 않도록 설정
- 데이터 가용성, 읽기/쓰기 성능을 고려하여 선택
- 네임노드 데이터
- 메모리
- 파일 시스템 메타 데이터
- 디렉토리, 파일명, 블록, 블록-데이터 노드 매핑 정보
- 파일
- edits: 변경 내역
- fsimage: 특정시점의 스냅샷
- 디렉토리, 파일명, 블록, 상태 정보
- 블록-데이터 노드 매핑정보는 보관하지 않고 네임노드 재기동시 데이터 노드에게서 받음
- 네임노드 구동과정
- 파일로부터 메모리에 데이터 생성
- fsimage를 읽어와서 메모리에 로딩
- edits 파일을 읽어와서 메모리에 변경 내역을 반영
- 스냅샷 생성
- 현재의 메모리 상태를 fsimage로 내림
- 빈 edits 생성
- 데이터 노드로부터 매핑정보 수신
- 메모리에 블록-데이터 노드 매핑정보 생성
- 서비스 시작
- 보조 네임노드
- edits는 최초 재시작할 때만 비어 있음
- 운영 상태에서는 edits 파일은 계속 증가하게 됨
- 보조 네임노드는 edits 파일을 정리하여 fsimage에 반영
- 블록, 블록 스캐너란?
- 블록: HDFS는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구분, 기본사이즈는 128MB
- 블록스캐너: 블록의 체크섬을 가지고 블록 오류 여부를 확인
- 데이터 노드는 주기적으로 블록 스캐너를 실행하여 블록의 체크섬을 확인하고 오류가 발생하면 수정
- Commodity hardware 란 무엇인가?
- 빅데이터 처리를 위해 따로 하드웨어를 구성하지 않고 범용 하드웨어르 처리 가능
- NameNode 의 기본 포트는?
- 네임노드의 기본포트는 하둡 설정의 hdfs-site.xml의 설정을 이용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 네임노드의 기본포트는 8020이다.
- hdfs://localhost:8020/ 으로 접속이 가능
- http://blog.cloudera.com/blog/2009/08/hadoop-default-ports-quick-reference/
- HDFS 클러스터 내부의 데이터 복사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 하둡은 클러스터 내의 데이터 복사를 위한 DistCp 기능을 제공한다.
- source 위치와 destination 위치를 제공하면 MR 을 이용하여 여러 노드에서 동시에 데이터 복사를 진행하여 준다.
- hadoop distcp [source] [dest]
- https://hadoop.apache.org/docs/current3/hadoop-distcp/DistCp.html
- HDFS replication factor를 갱신하는 방법은?
- HDFS는 데이터의 분실 및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복사하여 저장한한다.
- 이때 복사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replication factor 라고 한다. 기본 설정은 3이다.
- 이 설정값의 변경은 fs shell의 setrep 명령을 이용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 hadoop fs -setrep 3 -w /path 로 설정하면 된다.
- w옵션은 데이터 복사가 완료 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시간이 오래 걸릴 수도 있다.
- NAS와 HDFS의 차이는?
- NAS는 단일 서버에서 실행되고 HDFS는 클러스터 환경에서 동작한다.
- NAS는 데이터 저장의 목적이지만, HDFS는 저장된 데이터의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 HDFS에 replication factor 를 1로 주어서 복사하면 어떻게 되는가?
- HDFS는 설정된 replication factor에 맞게 파일을 복사한다.
- 이부분을 1로 주게 되면 파일을 복제하여 저장하지 않고 문제가 발생했을때 파일을 잃어버리게 된다.
반응형
'빅데이터 > hado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ive] tez 실행중 메모리 오류 발생 (0) | 2017.09.20 |
---|---|
[하둡]HDFS의 헬스 체크 및 커럽트 블럭 삭제하기 (0) | 2017.09.18 |
[hadoop] 빅데이터 면접 질문 (0) | 2017.09.10 |
[hdfs] 하둡 hdfs의 휴지통 설정하기 (0) | 2017.07.24 |
[hadoop][fsck] HDFS의 상태를 점검 할 수 있는 명령어 (0) | 2017.04.10 |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Python
- error
- SQL
- 알고리즘
- bash
- 다이나믹
- yarn
- Hadoop
- 하이브
- java
- 하둡
- 파이썬
- Tez
- ubuntu
- build
- AWS
- emr
- airflow
- 백준
- Linux
- HDFS
- mysql
- 오류
- HIVE
- oozie
- nodejs
- hbase
- SPARK
- 정올
- S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