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객체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from, of, builder 패턴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of: 엔티티의 필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객체를 생성할 때 사용 객체 생성에 필요한 필수 인자가 명확하고, 불변 객체를 만들거나 간단한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public static User of(String username, String email) { // 필수 필드 return new User(null, username, email);}public static Color of(int red, int green, int blue) { return new Color(red, green, blue);} from: 다른 객체로부터 객체를 생성할 때 주로 사용 다른 객체나 데이터 구조..

record 타입은 java 14 에서 도입된 새로운 기능으로 데이터 객체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읍니다. 간결성: 데이터 홀더 클래스를 매우 짧은 코드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불변성: 기본적으로 컴포넌트가 final로 선언되어 객체의 상태가 생성 후 변경되지 않아 안전합니다.자동 메서드 생성: equals(), hashCode(), toString() 등의 필수 메서드를 직접 구현할 필요가 없어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를 줄여줍니다.가독성: 클래스의 목적이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이렇게만 보면 lombok 과 유사하게 보입니다. lombok은 추가 라이브러리를 필요로 하지만, record 타입은 java의 기본 기능으로 다른 라이브러리 없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
- Total
- Today
- Yesterday
- 다이나믹
- java
- airflow
- SPARK
- 알고리즘
- HDFS
- error
- oozie
- 백준
- bash
- 오류
- HIVE
- SQL
- Hadoop
- S3
- ubuntu
- AWS
- nodejs
- hbase
- Linux
- 하이브
- build
- mysql
- 정올
- 파이썬
- 하둡
- emr
- Python
- Tez
- yar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