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ARN의 커패시티 스케줄러를 설정하면서 root큐 아래 설정된 하위큐가 사용할 수 있는 코어(CORE) 레이블의 용량(capacity)의 합이 100을 넘어서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capacity-scheduler.xml에 설정된 yarn.scheduler.capacity.root.[큐이름].accessible-node-labels.CORE.capacity 값의 총합이 100을 넘지 않도록 수정하고 yarn rmadmin -refreshQueues를 입력하여 큐 설정을 변경합니다. $ yarn rmadmin -refreshQueues 19/10/31 04:20:14 INFO client.RMProxy: Connecting to ResourceManager at /10.11.60.235:8033 refr..
하둡의 스케줄러중 하나인 커패시티 스케줄러는 큐별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총량을 정해놓고 처리하는 방식이다. 하둡설정의 capacity-scheduler.xml 파일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 운영중에 큐의 추가는 가능하다. * capacity-scheduler.xml 을 수정하고, yarn rmadmin -refreshQueues 를 입력한다. ** 운영중에 큐의 삭제는 불가능하다. ** capacity-scheduler.xml 을 수정하고, 리소스 매니저를 재시작하면 된다. YARN overview from SeongHyun Jeong https://hadoop.apache.org/docs/r2.7.2/hadoop-yarn/hadoop-yarn-site/CapacityScheduler.html
- Total
- Today
- Yesterday
- mysql
- hbase
- 파이썬
- SPARK
- Python
- Hadoop
- oozie
- HDFS
- java
- bash
- nodejs
- Tez
- build
- 오류
- 알고리즘
- 백준
- yarn
- error
- airflow
- ubuntu
- 정올
- HIVE
- S3
- 다이나믹
- SQL
- Linux
- 하둡
- 하이브
- emr
- AW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