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x Range Scan 인덱스 루트 블록에서 리프 블록까지 수직적으로 탐색한 후에 리프 블록을 필요한 범위만 스캔하는 방식 B-Tree 인덱스의 가장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액세스 방식 인덱스를 스캔하는 범위를 얼마만큼 줄일 수 있느냐와 테이블로 액세스하는 횟수를 얼마만큼 줄일 수 있느냐 인덱스를 구성하는 선두 컬럼이 조건절에 사용되어야 index Range Scan 가능 Index Range Scan 과정을 거쳐 생성된 결과집합은 인덱스 컬럼 순으로 정렬, order by 연산을 생략하거나 min/max값을 빠르게 추출 가능 between, like, 부등호 조건 처리 Index Full Scan 수직적 탐색 없이 인덱스 리프 블록을 처음부터 끝까지 수평적으로 탐색하는 방식 최적의 인덱스가 없을 때..
인덱스 테이블 내의 원하는 레코드를 빠르게 찾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진 데이터 구조 데이터와 무관하게 생성 및 삭제를 독립적으로 할 수 있다. 자동 인덱스: 프라이머리 키 또는 UNIQUE 제약조건에 의해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인덱스 수동 인덱스: create index 명령을 실행해서 만드는 인덱스 논리적 인덱스: 단일, 복합, 유일, 비유일, 함수 기반 인덱스 물리적 인덱스: B-Tree, Bitmap, IOT 인덱스 등 인덱스 칼럼의 선정기준 - 하나의 칼럼에 독립적인 인덱스를 선정하는 경우, 양호한 분포도를 가져야 함 - 결합 인덱스의 첫번째 칼럼이 조건절에 없다면 인덱스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결합 인덱스의 순서는 '='로 사용되는 것을 먼저 쓰고 다음으로 분포도가 좋은것을 사용 - 인덱스 머지가 발..
- Total
- Today
- Yesterday
- ubuntu
- yarn
- AWS
- mysql
- 정올
- Tez
- HIVE
- 오류
- 백준
- Python
- 알고리즘
- 다이나믹
- Hadoop
- airflow
- Linux
- 하둡
- SPARK
- hbase
- error
- 파이썬
- oozie
- 하이브
- S3
- build
- bash
- java
- emr
- nodejs
- HDFS
- SQ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