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YARN은 REST API를 이용하여 스케줄러의 클러스터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API를 이용하여 현재 클러스터가 어느정도의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사용량(퍼센트)으로 확인하는 스크립트를 알아보겠습니다.
[hadoop] YARN REST API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사용량 확인 하기
YARN은 CLI 명령어와 웹UI, REST API를 제공합니다. 이중에서 클러스터의 사용량은 모니터링 툴을 이용해서 확인할 수 있지만, 모니터링 툴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REST API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118k.tistory.com
클러스터의 메모리 사용량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totalMB: 전체 메모리
- reservedMB: 사용 예약된 메모리
- availableMB: 사용 대기중인 메모리
- allocatedMB: 사용중인 메모리
- totalMB + reservedMB = availableMB + allocatedMB
이 스크립트를 크론탭으로 2분마다 실행합니다.
*/2 * * * * /rm_usage.py >> /data/data_`date -u +\%Y\%m\%d`.csv |
결과가 다음과 같이 저장됩니다.
$ tail data_20190805.csv 2019-08-05 08:14:02,1486080,0,1057632,428448,28.83 2019-08-05 08:16:01,1486080,0,1439424,46656,3.14 2019-08-05 08:18:01,1486080,0,1483104,2976,0.20 2019-08-05 08:20:01,1486080,0,1448160,37920,2.55 2019-08-05 08:22:01,1486080,0,1323456,162624,10.94 2019-08-05 08:24:01,1486080,0,1294528,191552,12.89 |
이 결과를 보면 현재 클러스터가 어느정도 사용중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고 클러스터의 증설이나 감소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빅데이터 > hado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파이썬
- 오류
- oozie
- HIVE
- build
- hbase
- yarn
- bash
- HDFS
- nodejs
- mysql
- 다이나믹
- ubuntu
- 정올
- java
- airflow
- Python
- Hadoop
- 알고리즘
- S3
- 하둡
- SQL
- emr
- Linux
- 하이브
- Tez
- 백준
- SPARK
- AWS
- erro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